본문 바로가기

주식 매수 매도 방법 완전 초보용 가이드

themoneyproject 2025. 5. 18.

주식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를 위한 매수와 매도 방법 완전 정리. MTS, HTS 주문 화면 캡처 없이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쉬운 용어로 설명했습니다.

주식 매수 매도 방법 완전 초보용 가이드

“주식 계좌는 만들었는데, 도대체 어디서 주식을 사야 하는 거죠?”
처음 주식을 시작하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이런 의문을 갖습니다. 실제로 앱을 켜면 버튼이 너무 많아 어디서부터 눌러야 할지 모를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주식 매수·매도 방법의 기초부터, HTS·MTS에서 실제 주문하는 방식, 주문 종류, 주의할 점까지 완전히 정리해 드립니다. 글 하나로 기본 개념을 완전히 이해하고, 실전 매매 전 불안감을 없애는 것이 목적입니다.

1. 주식 매수·매도란 무엇인가?

주식을 매수한다는 것은 특정 기업의 주식을 ‘구매’한다는 의미입니다.
매수한 뒤 일정 시간이 지나 가격이 오르면, 그때 매도하여 차익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주식을 통해 수익을 얻는 가장 기본적인 방식이 바로 이것이죠.

즉, 저가에 매수 → 고가에 매도하면 이익이 생기고,
반대로 고가에 매수 → 저가에 매도하면 손실이 발생합니다.

이 원리를 바탕으로 투자자들은 다양한 전략을 세우고 주식시장에 참여합니다. 수익만을 기대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하고, 타이밍과 전략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매수·매도 주문은 어디서 하나요?

대부분의 투자자는 스마트폰 앱(MTS) 또는 PC 프로그램(HTS)을 통해 주식 거래를 합니다. MTS는 Mobile Trading System의 약자로,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거래할 수 있어 요즘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요즘은 토스증권, 키움증권, 삼성증권, 미래에셋 등의 MTS가 직관적으로 잘 만들어져 있어서, 모바일로 주식 거래를 시작하는 초보자가 많습니다. 대부분의 MTS는 초보자가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실제 시뮬레이션 예시:
예를 들어 삼성전자 주식을 사고 싶다면, MTS 앱에 들어가 ‘삼성전자’를 검색합니다. 현재가가 74,500원이라면, 지정가 74,400원에 10주를 입력해 매수 주문을 넣습니다. 주문이 체결되면 보유 종목에서 확인할 수 있고, 원하는 시점에 매도하여 수익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MTS 기본 매수·매도 흐름 예시:
1. 종목 검색 → 2. 현재가 확인 → 3. 매수 클릭 → 4. 수량·가격 입력 → 5. 주문 확인 → 6. 체결 확인

PC에서는 HTS(홈트레이딩 시스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기능이 훨씬 많고 복잡한 주문도 가능하지만,
초보자에겐 오히려 MTS가 더 쉽고 직관적인 진입로가 됩니다.

3. 주문 방식의 종류

주식 주문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존재합니다. 각각은 ‘언제, 어떤 조건에서 거래가 체결될지’를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체결 조건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의도한 가격과 다르게 거래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지정가 주문: 원하는 가격을 직접 입력해 주문. 해당 가격에 도달해야 체결됩니다.
  • 시장가 주문: 현재 시장에서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즉시 체결됩니다.
  • 조건부 지정가: 정규장 마감 이후 단일가 매매 시간에 체결될 수 있는 주문 방식입니다.
  • 시간외 종가/단일가 주문: 정규장이 끝난 후에도 거래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다만 체결 조건이 다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초보자는 ‘지정가 주문’으로 시작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며, 시장가 주문은 급등락 시 예상치 못한 가격에 체결될 위험이 있습니다. 한 호가만 차이 나도 손실이 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해하기 쉬운 예: ‘지정가로 주문을 넣었는데 왜 체결이 안 됐지?’ → 지정한 가격에 도달하지 않으면 체결되지 않고 미체결 상태로 남습니다. 이럴 경우 체결 내역에서 상태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4. 매수·매도 시 주의할 점

  • HTS/MTS 시스템 점검 시간: 대개 새벽 0시~6시 사이에는 주문이 제한됩니다. 이 시간에 주문을 넣으려다 체결되지 않아 놓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잔고 확인: 매도할 때 본인이 보유한 주식 수량을 정확히 확인해야 합니다. 부족하면 매도가 거절됩니다.
  • 수수료 & 세금: 거래 시 수수료 외에도 매도 시 약 0.23%의 거래세가 자동 부과됩니다. 장기 투자자는 이 수수료 부담이 쌓일 수 있습니다.
  • 체결 여부 확인: 주문이 체결됐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미체결 시 장 마감 후 자동 취소되며, 예상보다 늦게 매수되거나 매도 타이밍을 놓칠 수 있습니다.

국내 주식시장만의 특징: 한국 증시는 오전 8시 30분부터 장전 동시호가 시간이 시작됩니다. 이 시간에 입력한 주문은 오전 9시에 일괄 체결됩니다. 미국 주식시장과 달리 ‘시작 전에 미리 주문 넣기’가 매우 활발히 활용되는 구조입니다.

5. 마무리

주식 매수·매도는 단순한 클릭 몇 번으로 끝나는 과정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주문 방식의 차이, 세금 구조, 체결 조건, 타이밍 등 알아야 할 요소가 많습니다.

지금은 단순한 거래라 해도, 장기적으로는 이 구조를 얼마나 잘 이해하느냐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가격만 보고 매수했다가 체결이 안 되네?’, ‘왜 예상보다 싸게 팔렸지?’ 같은 상황을 겪지 않으려면, 지금 이 글을 통해 매수·매도 구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해소하고, 기본기를 확실히 다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댓글